봉화길 남천주길은 설봉산 가는 길 (부발역 - 죽당천길 - 경충대로 - 복하천 제1수변공원 - 안흥지 - 애련정 - 이천터미널 - 중앙교회 - 이천역)
오늘 코스는 봉화길 여려 코스 중 가장 평이한 걷기 편한 코스, 오르막 내리막이 한 군데도 없는 구간, 하이라이트는 임금님들이 여주능행길에 들리던 애련정(愛蓮亭)입니다. 지난번에 전반부를 종료했던 이천역에서 출발하면 정코스가 되겠지만 중앙교회까지 버스로 이동하는 불편이 있어 부발역에서 바로 출발하는 역코스로 잡았습니다. 자연스레 진행방향이 설봉산 가는 길이 되기도 하네요. 부발역은 제6길 골내근길, 제8길 자채방앗길의 출발점이기도 해 종합안내판도 세워져 있고 길안내가 잘 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한 것도 오늘 역코스 출발점으로 잡은 이유도 되는데, 아쉽게도 부발역에 내려 1번 출구 나오면 종합안내판은커녕 아무런 길안내도 없습니다. 두리번거려 리본을 찾게 되죠.
부발역 앞 조형물이 멋지네요, 하이닉스 공장에서 생산되는 반도체 조형물입니다. 두리번거리다 왼쪽 자전거 주치장 옆 가로수 나뭇가지에 매어달인 리본을 발견하고 다가가 보았지만 그 리본이 어느 코스를 가리키는 것인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굴다리 쪽으로만 후속 리본이 보여 알바가 되더라도 일단 따라가 보기로 합니다.
이런 깜깜이 출발을 하도록 세(3) 군데의 출발점인 중요 포인트에서의 길안내가
이토록 부실하면 봉화길 길안내에 대한 신뢰감에 감점요인이 될 수밖에 없겠죠.
굴다리 빠져나가면 바로 죽당천이네요. 죽당천 다리 건너에 봉화길 안내판이 세워져 있습니다.
죽당천길
![]() |
![]() |
![]() |
![]() |
죽당천은 넓지 않은 개울인데 수량이 풍부하고 흐르는 물 수질도 깨끗해 보이는데요, 물어보니 구피천으로도 불리는 만큼 구피잡이 명소라네요. 청소년들이 옹기종기 모여 구피도 잡고 새우도 잡고 있습니다. 구피는 열대어인데 찬 개울물에 겨울을 어떻게 적응했는지 신기하네요. 주변에 발전소와 공장들이 방류하는 데워진 물이 수온을 높여 주고 있다지만 적응력이 놀랍습니다.
죽당천길 따라갑니다.
경충대로
죽당천길 끝에서 경충대로와 연결되지만 길안내 리본이 안 보입니다.
일단 이천 가는 방향으로 경충대로 따라가기로 하는데,
가도 가도 리본은 안보입니다. 코스를 이탈한 모양인데요.
그러다 2킬로 정도 진행해 온 지점,
신하1리 표지석 앞에서 코스에 복귀, 전봇대에 양방향 이정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왼쪽으로 들어가면
신하1리 마을회관, 정코스입니다. 역코스 이천 - 신둔도예촌역 방향은 그대로 경충대로 따라 직진 자전거길입니다.
OB맥주 공장 앞도 지나고 이마트후레쉬센타 사거리도 지나 계속 경충대로 따라갑니다.
우측 철제 난간에 하늘색 리본이 붙어 있죠. 신라 CC 이정표도 길가에 보입니다.
설봉공원 직진, 미란다 호텔, 2km 직진,
복하 사거리
복하교 건너가 우틀,
복하교 아래 복하천의 넓은 개울물에 오리들이 노닐고 있습니다.
복하천 제1수변공원입니다.
복하천 수변공원 둑방길
수변공원 둑방길 따라 1킬로 정도 직진,
둑방길 끝에 쉼터에서 잠시 쉬어가기로 합니다. 4.5킬로 정도 진행해 온 지점,
쉼터에서 좌틀, 왼쪽에 수변공원, 우측에 중리천, 둑방길 따라갑니다.
미란다 호텔 뒤편이 안흥지 연못입니다.
안흥지
통일신라 말 이전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안흥방죽입니다. 이 물로 구만리뜰 논에 물을 대 천하제일의 미질을 자랑하는 자채쌀 주산지를 만들었다는 설명입니다.
연못 한가운데 정자가 보이죠, 다가가 보니 애련정입니다.
애련정은 안흥지 한가운데에 있습니다.
애련정 안내판에는, 언제 세웠는지는 불명이나 세종 10년(1428)년에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성종 5년(1474)에 이천부사가 다시 중건하였고 주변에 못을 파서 안흥지라 하고 연꽃을 심어 영의정 신숙주(申孰舟)에게서 애련정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는 설명입니다. 수양대군 편에 선 계유정난의 공신 신숙주(申叔舟)인가 했는데 성명에 가운데 숙 자가 다르네요.
애련정 현판은 1998년 성천 유달영 선생께서 쓰셨네요.
애련정에는 월산대군의 한시 한 수가 걸려 있습니다.
![]() |
![]() |
![]() |
![]() |
그 외에도 초당 강경서, 사가정 서거정, 매계 조위, 퇴어 김진상 선생의 한시도 결려 있습니다. 필체가 같은 것으로 보아 소실된 이후 1998년 중건 당시 어느 한 분이 필사한 게 아닌가 싶은데 애련정 편액을 쓰신 유달영 선생이 아니실까 추측해 봅니다.
애련정 중건기(重建記)에는 영의정 신숙주(申叔舟)에게 부탁하여 애련정이라는 이름을 받았다고 되어 있네요. 그러면, 애련정 안내판에 신숙주(申孰舟)는 숙(叔)이 숙(孰)으로 잘못 표기된 모양입니다. 창덕궁에도 애련정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선현들이 연꽃을 무척 사랑하셨나 봅니다.
남천주길 안내판에, 해동지도에 봉화대로는 지도의 북서쪽 광현에서 시작 '광주계이십리'라는 거리 표시와 함께 대로임을 표시해 놓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여러 번 소실되면서 주변에 세월을 간직한 명품 소나무는 안 보입니다.
대신 큰 느티나무 두(2) 그루가 애련정 좌 우에 늘어져 있고 연못 주변에는 벚나무 숲길입니다.
애련정에서 돌아 나와 어디로 진행되는지 길안내 리본이 안 보이네요.
일단 터미널 가는 쪽으로 진행, 남천공원 지나 중앙로터리에서 리본 발견, 코스에 복귀하였습니다.
육교를 건너가,
한 300여 미터 직진하면 중앙교회입니다. 오늘의 코스를 종료합니다.
버스정류장에서 배낭을 내리려는 순간 210번 버스가 다가오네요. 버스 타이밍이 굿 굿입니다.
집어 타고 이천역으로 이동 환승, 귀가하였습니다.
오늘 걸은 거리는 gps 상으로 8.4km입니다.
글번호: 1068
'걸어다닌 풍경 > 경기옛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옛길 봉화길 제7길 세종효종길(세종대왕릉역 - 영릉 - 여주역) (20) | 2024.02.20 |
---|---|
경기옛길 봉화길 제6길 골내근길(부발역 - 아미리 - 수정리 - 세종대왕릉역) (13) | 2024.02.19 |
경기옛길 봉화길 제5길 남천주길(신둔도예촌역 - 설봉산 - 이천역) (18) | 2024.02.04 |
경기옛길 봉화길 제4길 곤지바위길은 곤지암바위에서 이천의병 승전의 함성이 울려퍼진 넓고개까지 (18) | 2024.01.14 |
경기옛길 봉화길 제3길 너른고을길 - 광주(廣州) (21)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