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김유정이 나고 자란 마을은 춘천 신남면 증리,

금병산에 둘러싸인 고향 마을 모습이 옴폭한 떡시루 같다 하여 증리가 실레마을로 불리며 마을 전체가 유정의 작품 무대였습니다. 지금까지도 전해지는 '점순이' 등 그의 소설 12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를 바탕으로 금병산 자락에 조성된 실레 이야기길은 유정과 그의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찾아오는 문학기행의 명소로 꼽히고 있습니다. 

 

스물아홉에 요절한 유정,

그의 숨결이 스며있는 만추의 실레 이야기길을 따라 걸은 토요일 오후였습니다. 

 

실레이야기길 설명문, 검은 목재 바탕에 흰 글씨,

도련님, 이쁜이는 물론, 점순이, 덕돌이, 춘호, 응칠이, 응오, 복만이, 덕만이, 근식이, 이렇게 유정의 소설에 등장하는 고향 사람들의 이름만 들어도 정겹습니다. 점순이가 유정을 꼬셨다던 동백숲길에 나오는 동백은 붉은 동백꽃이 아닌 노란 생강나무였습니다. 

 

동백나무는 생강나무라는 안내문, 검은 바탕에 노란 글씨, 녹나무과는 녹색 글씨, 산동백나무라고도 불린다는 설명은 흰색 글씨,

생강나무와 산수유를 구별할 수 있다면 꽃나무에 대한 관심이 많은 분이죠.

 

김유정 역 한옥 건물, 푸른 하늘, 우측에 가로등,

출발은 김유정 역에서부터입니다. 

 

김유정 문학촌, 초가집 두 채, 초가집 벽은 황토색, 앞에는 억새꽃, 뒤에는 금병산, 파란 하늘,

오늘은 만추의 실레 이야기길 걷는 날, 김유정 문학촌은 지나갑니다.

 

문학촌을 지나 삼거리에 실레 이야기길 안내판을 보고 마을 우측 편을 흘러 돌아 나오는 실개천을 따라갑니다. 

전에는 왼쪽으로 마을 외곽길이었는데 바뀌었네요. 

 

마을풍경, 수확이 끝난 배추밭,

마을 한가운데 배추밭은 포기를 다 수확하고 버려진 배춧잎은 그냥 시들어가고 있습니다.

그래도 아직은 배추 내음이 남아 있네요.

 

실개천, 잡초,

졸졸 흐르는 실개천

 

햇살 가득한 데크길, 뒤로는 마을풍경, 뿌연 하늘,

실개천 따라 데크길도 조성되었습니다.

 

개집, 백구 둘, 흰 파라솔, 푸른 파라솔,

길가에 어느 집 백구 둘, 왼쪽 녀석은 밉상으로 짖고 있는데 우측 녀석은 순둥이,

반가워하는 표정입니다. 

 

인쇄박물관 건물 맨위애 책과 인쇄라는 간판, 흰벽, 회색벽, 푸른 하늘, 앞에는 소나무, 가운데 전못대, 통신 줄,

인쇄박물관 왼쪽으로 돌아갑니다.

잔디밭에 놓인 낡은 윤전기, 활자본, 잔디깎이 등이 눈에 뜨이네요. 

 

들판을 지나가는 농로, 가운데 큰 나무, 왼쪽에 검은 가림막으로 가려진 창고? 우측에 흰 비날하우스, 앞을 가로막고 있는 금병산, 푸른 하늘,

인쇄박물관을 지나서부터는 종전의 길에 복귀해서, 들판도 지나고, 폐가도 지나고, 길가의 어느 쉼터에는

흘러간 구성진 옛 팝송이 커다란 고물 스피커에서 흘러나오고 있었습니다. 

 

붉은 단풍 낙엽 수북한 바닥, 가운데 큰 나무밑줄기 하나, 그 그림자,

단풍이 다 떨어진 이 길은 들병이들 넘어오던 눈웃음길이었습니다.

 

큰 나무 아래 수북한 솔잎, 그 우에 비친 나무 그림자,

수북이 쌓인 솔잎, 들병이들 모습이 어른거리나요. 들병장수라고도 불리는 들병이는 병에 술을 담아가지고

다니며 파는 장사꾼들입니다. 

 

김유정 문학의 현장이라 새겨진 검은 사각 대리석, 흰 글씨,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쉼터에 돌에 새겨 세워놓은 '김유정 문학의 현장'에는 이곳이 유정이 산책하며 작품을

구상하던 곳이라는 설명이 새겨져 있습니다.

 

아기장수 고갯길에 비치는 오후의 강렬한 햇살, 길가에 수북한 낙엽,

낙엽 쌓인 산길, 이 길은 금병산 아기장수의 전설이 전해지는 길입니다.

 

내리막 고개길, 우측에 안전 로프난간 두 줄, 그늘진 산길,

가난한 부부에게 태어난 아기장수는 겨드랑에 날개가 달려 마을 사람들이 아기장수가 태어나면 불길하다 하여

날개를 잘라버려 아기장수는 시름시름 앓다가 죽었다는 슬픈 이야기입니다.

 

우측 급경사에 통나무 목책난간 내리막길

점순이가 나를 꼬시던 동백숲길

 

낙엽 수북한 길에 남 1, 여1, 모두 빨간 상의, 검은 바지, 남성은 뒷짐지고 걷는 뒷모습,

유정의 첫사랑은 점순이였나요..

 

벤치위에 내려놓은 배낭, 산불조심 걸개 안내문, 노란 바탕에 붉은 글씨, 밤 줍지 마세요라는 주의 안내문,

잠시 배낭 내려놓고 쉬어갑니다.

 

낙엽 수북한 길, 왼쪽에 4단 통나무 목책,

덕돌이가 장가가던 신바람 길

 

언덕위에 전망데크, 나뭇가지에 가려진 푸른 하늘,

전망대가 새로 생겼네요, 그런데 올라가지 못하도록 계단 입구를 테이프로 감아 막아놨네요. 

 

낙엽 쌓인 내리막 길, 우측 급경사에 두 줄 안전로프 난간, 
햇살에 길게 비친 나무그림자들,

복만이가 계약서 쓰고 아내 팔아먹던 고갯길

 

햇살 가득한 낙엽 쌓인 길에 여성 둘, 뒷모습, 모두 검은 옷, 그 뒤를 붙어 따라가는 그림자 둘,

오후의 햇살이 눈부십니다.

 

노란 낙엽송
노란 낙엽송

 

노랗게 물든 낙엽송

 

노라 단풍
붉은 단풍잎
노란 단풍잎

 

고운 단풍은 다 졌습니다.

 

내리막 통나무 게단길, 햇살에 길게 누은 나무 그림자들,

춘호처가 맨발로 더덕 캐던 비탈길

 

낙엽 쌓인 길에 여성 2, 뒷모습, 줄무늬 상의, 붉은 자켓, 그린자켓, 검은 바지,청바지, 어깨에 대각선으로 멘 검은 가방,

도련님이 이쁜이와 만나던 수작골길

 

산신각 가는 산신령길 안내판, 짙푸른 4각 테두리에 흰 바탕, 검은 큰 글씨,

산신각 가는 산신령길을 따라갑니다.

 

숲속길에 여성 4, 맨 뒤는 상 하 모두 회색 옷,

가자 말자 의견이 엇갈리던 네(4) 여성분들,

가자로 의견을 모으고 산신각을 향해 오르막 으슥한 산길을 따라갑니다. 

 

기와 지붕의 산신각 옆모습
붉은 벽돌담으로 둘러친 산신각 정면

 

산신각입니다.

 

진병산 산신각 안내문, 검은 네모 대리석에 흰글씨,

금병산을 진병산이라고도 하는군요. 임진란 때 진을 쳤던 곳, 후에 항일 의병들도 진을 쳤던 곳, 이곳 진병산에

산신각을 지어 산산령을 모시고 조상 대대로 주민의 안녕과 마을의 번영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매년 3월 길일에

지내는 곳이라는 설명입니다. 

 

빼곡한 잣나무 숲

내려가는 길은 잣나무길

 

산길 끝, 쪽다리 건너 마을길에 접속,

다 내려왔습니다.

 

금병의숙길 느티나무 설명문, 검은 대리석 판에 흰 글씨,

유정이 금병의숙을 지어 야학과 농촌계몽 운동을 벌일 때 심은 느티나무 이야기,

 

마을회관 옆 쉼터 정자 옆에 느티나무

증 1리 마을회관 옆 마을쉼터에 느티나무가 바로 그 느티나무입니다.

 

전철 플랫홈에서 바라본 김유정 역 뒷 모습, 글씨는 흰색,

김유정 역에서 실레 이야기길 마무리, 오늘 걸은 거리는 6.4km입니다.

 

 

글번호 1042

728x90

+ Recent posts